수도권 경제 동향, 서울·경기·인천 연구원 공동 포럼서 집중 논의

지역 경제 특성 반영한 지수 개발 및 활용 방안 모색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포스터 (사진제공=경기도)



[PEDIEN] 수도권 경제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전망하는 '수도권 지역경제동향 포럼'이 10월 30일 서울 정동1928 아트센터에서 열린다.

서울연구원, 인천연구원, 경기연구원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이번 포럼은 수도권 경제를 하나의 생활권으로 인식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경제 지표 개발 및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포럼에서는 제주, 서울, 인천의 지역 경제 동향 지수 개발 사례 발표가 진행된다. 고봉현 제주연구원 실장은 제주 경기동향지수 개발 사례를 통해 관광 서비스업 중심의 산업 구조와 전국 지표 의존성의 한계를 지적하고, 민간 데이터와 지역 특화 지표 결합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김진하 서울연구원 단장은 서울소비경기지수 개발 사례를 발표하며, 신용카드 매출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울 5개 권역별 소비경기 변동을 파악하는 경제 모니터링 체계를 소개한다.

최태림 인천연구원 센터장은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천시 뉴스심리지수 개발 사례를 설명하며, 2020년부터 2024년까지의 경제·사회 분야 뉴스 분석을 통해 지역 경제 심리를 정량화하는 과정을 공유한다.

정승일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의 주재로 진행되는 종합토론에서는 허진욱 숙명여대 교수, 김소정 한국은행 과장, 김건호 경기연구원 연구위원, 우영진 서울연구원 연구위원이 참여하여 수도권 지역 경제 현안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를 펼칠 예정이다.

강성천 경기연구원 원장은 “이번 포럼이 수도권 경제의 체계적인 진단을 위한 광역 협력의 첫걸음이 될 것”이라며, “수도권의 혁신적 변화와 지속 가능한 성장 토대를 마련하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서울특별시

경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