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수원시 공공시설의 대관 규정이 시설마다 달라 혼선이 빚어지고 있는 가운데, 일부 시설에서는 '챗GPT 특강'을 빙자한 상조 판매 행위까지 벌어져 논란이 일고 있다.
수원시의회 문화체육교육위원회 박영태 의원은 지난 26일 행정사무감사에서 이 같은 문제점을 지적하며, 대관 기준의 전면 통일과 관리 감독 강화를 촉구했다.
박 의원은 빛누리아트홀, SK아트리움, 정조테마공연장 등 수원시가 운영하거나 위탁하는 공연장의 대관 기준과 감면 규정이 모두 다르게 적용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공모사업이나 보조금 사업으로 공연을 진행하는 시민과 예술인들이 시설에 따라 감면 혜택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100~500석 규모의 소규모 공연장이 많은 만큼, 공연 목적에 따른 감면 기준을 수원시 전체가 통일해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아는 사람만 감면 혜택을 받고, 모르면 불이익을 받는 구조는 개선돼야 한다”며, 공공성을 담보할 수 있는 명확한 대관 및 감면 기준 마련을 촉구했다.
수원컨벤션센터의 대관 운영 문제도 도마 위에 올랐다. 박 의원은 과거 '챗GPT 특강'으로 홍보된 행사가 실제로는 보험 및 상조 상품을 판매하는 기만적인 행사였다고 지적하며, 수원시 출연기관이 공공시설을 활용해 이러한 행위를 방치한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비판했다.
이에 박 의원은 목적 불명확 시 대관 취소, 물품 및 서비스 판매행위 금지, 대관계약 위반 시 대관 제한, 위약금 등 페널티 규정 마련 등을 요구했으나, 현재까지 개선 결과에 대한 보고가 없었다며 관계 부서의 소통 부재를 질타했다.
수원컨벤션센터 측은 공식 사과하며 향후 위약금 부과, 일정 기간 대관 제한 등 강력한 제재 규정 마련을 약속했다. 박 의원은 “공공시설은 시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만큼 판매 목적의 기만적 행위는 절대 용납되어서는 안 된다”며, 수원시 전체 공공시설의 대관 시스템을 전면적으로 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