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원구, 고령화 시대 대비 '통합 돌봄' 시스템 본격 가동

의료·요양·복지 연계한 '노원형 모델'… 돌봄 사각지대 해소 기대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노원구청사전경 (사진제공=노원구)



[PEDIEN] 서울 노원구가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로 급증하는 돌봄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이달 1일부터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사업’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이는 기존 서비스의 단절성을 극복하고 지역사회 기반의 촘촘한 돌봄망을 구축하기 위한 조치다.


노원구는 서울시 자치구 중에서도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지역으로 꼽힌다. 2025년 7월 기준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10만 3천여 명으로 전체 인구(48만 6천여 명)의 21.2%를 차지한다. 주민 다섯 명 중 한 명이 고령층에 해당하며, 장기요양 수급자나 치매 환자 등 돌봄이 필요한 주민 비율 역시 높다.


구가 추진하는 ‘노원형 통합돌봄’은 의료, 복지, 주거, 건강을 하나로 묶는 생활밀착형 모델이다. 돌봄이 필요한 모든 주민이 거주지에서 건강하게 노년을 보낼 수 있도록 돕는 ‘일상 속 통합돌봄’ 실현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구는 지난 9월 29일 ‘통합돌봄 사업공유회’를 열고 실행 체계를 점검했다. 핵심 과제로는 돌봄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노원형 틈새돌봄’ 제공, 사례관리 연계 강화, 그리고 지역주민 중심의 돌봄 리더 양성 및 모니터링단 운영 등이 제시됐다.


현재 노원구는 건강보험공단 노원지사, 보건소, 병원, 복지관 등 24개의 통합안내창구를 시범 운영 중이다. 또한 복지시설, 보건의료 단체, 요양시설 등 30여 개 서비스 제공기관과 협력 체계를 구축하며 다층적이고 촘촘한 돌봄 체계를 다지고 있다.


구는 내년 3월 ‘돌봄통합지원법’ 시행에 맞춰 혁신적인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 특히 내년 1월에는 돌봄 전담 부서를 신설하여 유사한 보건·복지 사업을 통합하고 관련 업무를 이관해 행정 효율과 서비스 시너지를 극대화한다는 방침이다.


오승록 노원구청장은 “지역의 특성과 주민의 요구를 반영한 통합돌봄은 단순 복지를 넘어 삶의 질을 높이는 핵심 정책”이라며 “앞으로도 지역사회가 함께 참여하는 지속 가능한 돌봄 생태계를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서울특별시

경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