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서울 노원구가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로 급증하는 돌봄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이달 1일부터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노원구는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인구 규모와 65세 이상 고령 인구 규모 모두 상위권을 차지하는 지역이다. 전체 인구 48만 6천여 명 중 65세 이상 인구는 10만 3천여 명(21.2%)에 달해, 주민 다섯 명 중 한 명이 고령층에 해당한다. 장기요양 수급자, 치매 환자, 고령 장애인 등 돌봄이 필요한 주민 비율이 높아 기존의 분절된 서비스로는 한계가 있었다.
구가 추진하는 ‘노원형 통합돌봄’은 의료, 복지, 주거, 건강을 하나로 잇는 생활밀착형 모델이다. 돌봄이 필요한 모든 주민이 거주지에서 건강하게 노년을 보낼 수 있도록 돕는 ‘일상 속 통합돌봄’ 실현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구는 복지시설, 보건의료 단체, 요양시설 등과 협약을 맺고 다층적이고 촘촘한 돌봄 체계를 구축했다. 현재 건강보험공단 노원지사, 보건소, 병원, 복지관 등 24개의 통합안내창구를 운영하며 30여 개의 서비스 제공기관과 협력 체계를 가동 중이다.
구는 사업의 전문성과 행정 효율을 높이기 위해 내년 1월 돌봄 전담부서를 신설할 계획이다. 유사한 사업을 한데 모으고 관련 업무를 전담부서로 이관하여 돌봄 서비스의 시너지를 극대화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내년 3월 ‘돌봄통합지원법’ 시행에 발맞춰 더 많은 유관기관과의 협약과 전달체계 개편을 통해 서비스의 분절성을 극복할 수 있는 혁신적 모델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앞서 구는 지난 9월 29일 ‘통합돌봄 사업공유회’를 열고 지역 내 민간 기관·단체와 함께 실행 체계를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는 ‘노원형 틈새돌봄’으로 돌봄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지역주민 중심의 돌봄 리더를 양성하는 등 핵심 과제가 제시됐다.
오승록 노원구청장은 “지역의 특성과 주민의 요구를 반영한 통합돌봄은 단순 복지를 넘어 삶의 질을 높이는 핵심 정책”이라며 “앞으로도 지역사회가 함께 참여하는 돌봄 생태계를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