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등 7개 지자체, 중부권 광역급행철도 조기 착공 공동 건의

서울 강남~오송 134km 노선, 수도권-중부권 교통 불균형 해소 목표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경기도 광주시청사전경 (사진제공=광주시)



[PEDIEN] 광주시를 비롯한 수도권 및 중부권 7개 지방자치단체가 중부권 광역급행철도(GTX)의 조기 착공을 강력히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 지자체는 수도권과 충청권을 연결하는 핵심 교통망 구축을 위해 뜻을 모았으며, 14일 청주국제공항에서 공동 건의문에 서명했다.

이번 공동 건의는 현재 진행 중인 민자 적격성 조사 통과를 앞당기고 사업의 필요성을 대외적으로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행사에는 광주, 용인, 성남, 안성, 진천, 청주, 화성 등 7개 지자체 단체장이 참석해 협력 의지를 다졌으며, 핸드프린팅 퍼포먼스를 통해 상징적으로 표현했다.

중부권 광역급행철도는 서울 강남(잠실)에서 광주를 거쳐 청주국제공항과 오송역까지 총 134km를 연결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이 노선은 경강선 연장과 수도권 내륙선 대안 기능을 결합한 형태로 추진되며, 수도권과 중부권 간의 고질적인 교통 불균형을 해소하고 산업 및 물류 연계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철도가 개통되면 시민들의 실질적인 교통 편익이 크게 증진될 전망이다. 특히 서울 도심 출퇴근 시간이 대폭 단축되고 청주공항 이동 시간이 줄어드는 등 광역 교통망의 효율성이 높아진다.

광주시는 급격한 인구 증가와 도시 확장으로 교통 수요가 급증한 상황에서 철도 개통이 시민 교통난 해소와 생활권 확장은 물론, 기업 유치와 관광 활성화 등 지역 경제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방세환 광주시장은 “중부권 광역급행철도는 광주를 넘어 대한민국 동남부 교통 혁신의 핵심축이 될 것”이라며 “미래 교통 수요 변화에 대응하는 철도망 구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지난 8월 한국개발연구원 공공투자관리센터(KDI PIMAC)에 민자 적격성 조사를 의뢰했다. 조사가 통과되면 제3자 제안공고 등 후속 절차를 거쳐 구체적인 노선과 정차역이 확정될 예정이다.

서울특별시

경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