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 2026년 생활임금 결정 앞두고 전문가 의견 수렴

최저임금 넘어 '인간다운 삶' 보장… 도입 10년, 노동 정책 방향 모색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광명시, 2026년 생활임금 결정 앞두고 전문가 의견 수렴 (사진제공=광명시)



[PEDIEN] 광명시가 2026년도 생활임금 수준 결정을 앞두고 노동 전문가와 근로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토론회를 개최했다. 시는 최저임금 이상의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기 위한 생활임금 제도의 적정 수준을 논의하고 향후 노동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데 집중했다.

시는 지난 14일 철산동 이동노동자 쉼터에서 노동 전문가 4명과 근로자 6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6년 광명시 생활임금의 적정 수준과 노동정책 방향'을 주제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이번 토론회는 오는 17일 열리는 광명시 생활임금심의위원회의 최종 결정에 앞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마련됐다.

토론회에 참석한 박용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생활임금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박 위원은 "최저임금이 생존을 위한 최소 기준이라면, 생활임금은 인간다운 삶을 위한 제도"라며 지방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광명시는 2016년 생활임금 제도를 처음 도입한 이래 올해로 10년째를 맞았다. 도입 당시 시급 6,800원으로 시작했던 생활임금은 2019년에 1만 원을 넘어섰으며, 현재는 1만 1,450원을 적용하고 있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민선 8기 핵심 과제로 '노동이 존중받는 사회 실현'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정부의 노동친화적 국정 방향에 발맞춰 노동자의 권익 보호와 근로환경 개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시는 이번 토론회에서 제시된 전문가와 근로자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17일 심의위원회를 통해 2026년도 생활임금을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서울특별시

경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