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광명시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1인 가구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스마트 돌봄 체계' 구축에 나섰다. 사회적 고립 심화로 증가하는 고독사 위험을 빅데이터 기반으로 사전에 감지하고 예방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시는 지난 13일 한국전력공사 광명지사에서 '1인 가구 안부살핌 서비스' 도입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는 한국전력공사 광명지사, 광명시사회복지협의회(광명희망나기운동본부), 광명시 1인 가구 지원센터 등 민관 기관들이 참여했다.
특히 이 사업은 한국전력공사 광명지사의 사회공헌 사업으로 추진되며, 협약 기관들은 고독사 위험을 선제적으로 관리하는 지역 돌봄 인프라를 공동으로 구축하기로 합의했다. 주요 대상은 가족과 단절되거나 건강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중장년 1인 가구다.
구체적으로 '1인 가구 안부살핌 서비스'는 AI가 전력 및 통신 사용량 빅데이터를 분석해 해당 가구의 평소 생활 패턴을 학습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만약 평소와 다른 이상 징후나 장기간의 활동 없음이 감지되면, AI 콜이 자동으로 전화를 걸어 대상자의 안부를 확인한다.
AI 콜에 응답이 없을 경우, 관제센터는 즉시 현장 출동을 진행한다. 동시에 담당 사회복지사에게 문자 메시지로 상황을 통보해 신속한 현장 대응과 복지 서비스 연계가 이뤄질 수 있도록 했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이번 사업은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사회적 고립으로 인한 고독사를 예방하는 중요한 첫걸음”이라고 강조했다. 시는 앞으로도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여 고독사 없는 따뜻한 지역사회 돌봄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