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립미술관, 시민과 함께 그리는 미래…공개 포럼 성황리에 마무리

2028년 개관 앞두고 시민, 전문가와 함께 '열린 미술관' 비전 논의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인천광역시 시청



[PEDIEN] 인천시가 2028년 개관 예정인 인천시립미술관의 미래를 시민과 함께 논의하는 공개 포럼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지난 10월 30일, 청학문화센터에서 열린 이번 포럼에는 시민, 미술계 관계자, 전문가 등 100여 명이 참석하여 미술관의 나아갈 방향에 대한 심도 깊은 의견을 나눴다.

'열린 도시, 인천 - 열린 공간, 미술관'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포럼에서는 미술관의 공간적 지형과 생태계를 핵심 의제로 삼아 도시와 예술이 공존하는 문화 생태계 조성 방안을 모색했다.

기조 발제에서 이안나 근현대미술연구소 연구원은 인천 미술의 다층적인 역사와 정체성을 강조하며, 이동과 접속의 미술사로 확장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페드로 페레이라 사이트레스그룹 총괄 디렉터는 미술관을 디지털 기술과 시민의 일상을 연결하는 경험 중심의 플랫폼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제 발제와 토론에서는 미술관 운영 방향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윤재갑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총감독은 문화 교차점으로서의 역할, 오창근 경인교육대학교 교수는 문화 학습 허브로서의 역할을 강조했다.

또한, 서영희 전 홍익대학교 교수는 포용의 장으로서의 역할, 홍경한 미술평론가는 시민 참여형 프로그램과 지역 협력 사업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안미희 전 경기도미술관장은 스마트 미술관 모델을 제시하며 전담 조직 구성의 시급성을 강조했고, 이탈 한국미디어아트협회 이사는 기술 기반 예술과 시민 프로젝트 결합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종합 토론에서는 공공미술관의 사회적 역할, 지역 예술 생태계의 지속 가능성, 시민 참여 확대 방안 등이 논의되었으며, 시민들이 직접 발언자로 참여하여 미술관의 비전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하병필 인천시 행정부시장은 포럼에서 제시된 시민 의견을 향후 정책과 운영 방향에 적극 반영하여 인천시립미술관을 시민과 예술가가 함께 만들어가는 문화 플랫폼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인천시는 이번 포럼 결과를 바탕으로 2026년부터 단계별 개관 실행계획과 콘텐츠 구축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포럼 관련 내용은 인천시와 프로젝트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

서울특별시

경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