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심혈관 질환이 성별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지만, 일반인의 인지도는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성별 맞춤형 진료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진료 지침 개발에 나선다.
전국 성인 2003명을 대상으로 심혈관 질환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한 결과, 여성의 주요 사망 원인 중 심혈관 질환이 포함된다는 사실을 인지하는 비율은 약 20%에 불과했다. 또한, 남성과 여성의 심혈관 질환 증상이 다를 수 있다는 데 동의하는 비율도 23.5%에 그쳤다.
응답자의 60% 이상은 성차를 고려한 심혈관 질환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지만, 실제 관련 정보나 교육을 접한 경험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심혈관 질환 예방 및 치료에 있어 성별에 따른 맞춤형 접근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박성미 교수는 “여성에게만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을 간과하거나 남녀 위험 요인의 차이를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인지도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연구 결과는 진료 지침 및 권고안 형태로 의료 현장에 배포될 예정이며, 향후 공청회와 심포지엄 등을 통해 연구 성과를 공유할 계획이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성차 기반 연구를 강화하고, 임상 현장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적절히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인지도 조사 자료는 국립보건연구원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