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서구, 2030년까지 기후위기 적응 대책 본격 가동

취약계층 보호와 탄소중립 연계 강화 목표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인천 서구 제3차 기후위기 적응대책 수립 최종보고회 개최



[PEDIEN] 인천 서구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될 제3차 기후위기 적응대책을 수립하고, 구민 안전을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선다.

이번 대책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에 근거한 5년 단위 법정 계획으로, 서구는 19일 최종보고회를 열어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논의했다.

보고회에는 '2050 탄소중립 녹색성장위원회' 위원과 관련 부서 담당자 34명이 참석하여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서구는 건강, 재난·재해, 물관리, 산림·생태계, 농축산, 에너지복지, 교육홍보 등 7개 부문에 걸쳐 총 39개의 세부 대책을 마련했다.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 여건을 분석하고, 각 부문별 적응 대책을 공유하며 실질적인 계획 수립에 집중했다.

특히, 이번 대책에는 기후 취약계층 보호를 강화하고 탄소중립과 연계한 기후 회복력 강화 방안이 포함되어 서구의 특성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대책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서구는 최종보고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반영하여 기후에너지환경부에 대책을 제출할 예정이다. 2026년부터 2030년까지 확정된 대책을 관련 부서와 공유하고, 매년 이행 상황을 점검하여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할 계획이다.

김영춘 환경국장은 “이번 제3차 기후위기 적응대책 수립은 서구가 기후위기 대응에 한 걸음 더 나아가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취약계층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구민들의 기후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서울특별시

경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