잦은 비에 늦어지는 마늘 파종, 충북농기원 '적기 파종' 긴급 지도

배수 관리, 토양 건조, 종구 소독…월동 피해 최소화가 관건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충청북도_도청 (사진제공=충청북도)



[PEDIEN] 최근 잦은 강우로 충북 단양 등 중부 내륙지역 마늘 농가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마늘 파종 시기가 늦어지면서 월동 전 활착에 어려움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충북농업기술원은 마늘 생육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토양과 종구 관리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특히 한지형 마늘은 난지형보다 생육 속도가 느려 파종 시기를 놓치면 뿌리 활착 불량으로 월동 피해와 수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단양 지역의 10월 중순까지 강우일수는 17일, 강우량은 216mm로 평년 대비 3배 이상 많은 양이다. 이로 인해 밭이 과습해 경운 및 파종 작업이 미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농기원은 기상 여건을 살펴 밭 정지 작업이 가능한 시기를 놓치지 않고 적기에 파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토양이 충분히 마르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하게 파종할 경우 토양 다짐으로 통기성과 배수성이 저하되고 뿌리 활착이 불량해 균핵병·잎마름병 등의 병해 발생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따라서 파종 전후에는 배수로 정비와 20cm 이상의 이랑 높이 확보를 통해 물 고임을 방지해야 한다. 로터리 작업은 토양이 충분히 건조된 뒤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운 시에는 퇴비와 석회를 균일하게 혼합해 토양의 통기성과 보수력을 높이고 따로 보관 중인 종구는 통풍이 잘되는 장소에 두어 병충해 발생을 최소화해야 한다. 파종 전 종구 소독을 철저히 하는 것도 병해 예방에 도움이 된다.

마늘연구소 손정표 연구사는 “단양 등 점질토가 많은 지역은 토양 건조에 시간이 더 걸리는 만큼, 기상 상황을 지속적으로 확인해 파종 시기를 놓치지 않아야 한다”며 “10월 말까지는 안전하나, 11월 상순 이후에는 월동피해 가능성이 커지는 만큼 농가의 세심한 관리와 기술 지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자체의회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