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구 지속가능 일자리, '민주주의가 만드는 일자리'로 주목받다

지역 주도 일자리 질 개선 정책 전환의 선두 주자로 평가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광산구 지역 주도 일자리정책 실현을 위한 공동포럼 (광주광산구 제공)



[PEDIEN] 광주 광산구의 지속가능 일자리 정책이 지역 주도 일자리 질 개선을 위한 정책 전환을 선도하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광산구는 한국산업노동학회 등과 공동으로 '지역 주도 양질의 일자리 창출 정책의 의미와 실현 방안' 토론회를 개최, 이 자리에서 민·관·학 전문가들은 광산구의 정책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토론했다.

토론의 핵심은 정부 국정과제로 반영된 광산구의 지속가능 일자리 정책이었다. 전문가들은 이 정책을 '민주주의가 만드는 일자리'의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하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채준호 전북대학교 교수는 광산구가 시민을 주체로 사회적 대화의 장을 확장, 일자리 질 개선에 집중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 권현지 한국산업노동학회 학회장은 광산구의 일자리 모델이 향후 지방정부 노동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사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광산구가 풀뿌리 사회적 대화를 통해 만든 '지속가능 일자리 녹서'와 '백서' 또한 큰 관심을 받았다. 녹서에 담긴 질문에 대한 답변을 찾는 과정을 통해 시민, 노동계,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 백서에 23개 영역별 지속가능 일자리 모델을 담았다.

광산구는 백서 내용을 바탕으로 시범 사업을 위한 실행계획서인 '청서' 제작에 착수, 주거, 보육, 의료 등 다양한 분야의 사회임금 지원 체계를 구체화할 계획이다.

이찬규 전국노사민정사무국협의체 고문은 광산구가 고용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모범을 보였다고 평가하며, 김설 청년유니온 위원장은 광산구의 사회임금이 청년들이 고향을 떠나지 않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황현일 창원대학교 교수는 광산구 사례를 적극 검토하여 전국적으로 확산시켜야 한다고 제안했다. 명등용 광산구 지속가능일자리특구추진단장은 정부 차원에서 일자리 정책에 대한 근본적인 대응과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병규 광산구청장은 일자리 개혁이 사회 혁신과 위기 극복의 지름길이 될 수 있다고 믿으며, 지속가능 일자리 국가 시범도시로서 광산구가 일자리 정책 전환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제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