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35~55세 '끼인세대'에 4년간 918억 투입... 정책 소외 해소 시동

일자리·주거·노후준비 6대 분야 32개 사업 추진... '키세대'로 자긍심 높인다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부산광역시청사전경 (사진제공=부산광역시)



[PEDIEN] 부산시가 35세부터 55세까지의 '끼인세대'를 지원하기 위해 2025년부터 2028년까지 4년간 총 918억 원을 투입하는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정책 소외 해소를 통해 사회통합을 이루고 지역 경제 활력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둔다.

이번에 수립된 ‘제1차 부산광역시 끼인세대 지원 종합계획’은 전국 최초로 제정된 관련 조례에 근거하여 마련됐다. 시는 이들을 단순히 '끼인세대'로 규정하는 것을 넘어, 지역 사회의 핵심 동력인 '키(Key)세대'로 육성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종합계획의 비전은 '생애주기 지원 실현으로 다함께 행복한 부산'이며, 이를 위해 6대 핵심 분야에 걸쳐 총 32개의 지원사업이 추진된다. 6대 분야는 ▲일자리 ▲역량개발·교육 ▲주거안정·금융 ▲문화·여가 ▲출산·양육 ▲노후준비·건강으로 구성된다.

특히 경제적 안정과 직결되는 일자리 분야에서는 '4050 채용촉진 지원사업'을 확대하는 등 6개 사업을 추진한다. 주거안정 및 금융 분야에서는 폐업 소상공인의 재기를 돕는 '희망두배통장 지원사업'을 2025년 신규 사업으로 도입하여 생활 기반 안정에 힘쓴다.

또한, 가족과 미래를 위한 지원도 강화된다. 40대 임신·출산 증가 추세에 맞춰 2026년부터 '부산 40+ 산모 행복 패키지 지원사업'을 추가한다. 문화·여가 분야에서는 시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부산형 어린이 패스트트랙'을 2025년 시범 운영할 계획이다.

시는 이와 함께 개인의 건강 증진과 자산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노후 준비 교육 프로그램도 신설하는 등 생애 전반을 아우르는 통합 지원을 시행한다. 부산시는 지속적인 신규 사업 발굴과 종합계획 추진을 통해 끼인세대의 정책 소외를 해소하고 사회통합과 경제 활력 제고의 기반을 다져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세종

제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