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교육청, 통합교육 내실화 시동…학교장 연수 통해 공감대 형성

강원명진학교서 특수교육 역사 조명 및 자폐 피아니스트 성장 사례 공유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사진자료(춘천교육지원청, 춘천 특수교육! 그 시작과 통합교육 이야기) (사진제공=강원특별자치도)



[PEDIEN] 춘천 지역 교육기관의 수장들이 장애 학생의 교육적 성장을 지원하고 다양성이 존중되는 학교 문화를 만들기 위해 한자리에 모였다. 춘천교육지원청은 지난 13일 강원명진학교 해송홀에서 관내 유·초·중·고 및 특수학교 학교(원)장을 대상으로 ‘2025 통합교육 내실화를 위한 학교(원)장 연수’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수는 ‘춘천 특수교육! 그 시작과 통합교육 이야기’를 주제로 진행됐으며, 강원명진학교 합창단의 공연으로 문을 열었다. 특히 연수 장소인 강원명진학교는 1954년 개교해 71년 역사를 자랑하는 강원특별자치도 유일의 시각장애 교육기관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더했다.

첫 순서인 ‘특수교육의 시작’에서는 박홍신 강원명진학교 교장이 강원 특수교육의 발전 과정과 특수학교가 수행하는 역할 및 현황에 대해 심도 있는 강연을 펼쳤다. 이는 학교장들이 특수교육의 근본적인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이어지는 ‘통합교육 이야기’ 순서에서는 통합교육의 실제적인 중요성을 체감할 수 있는 시간이 마련됐다. 일반학교 통합교육을 통해 성장한 자폐 청년 양승혁 피아니스트가 무대에 올라 자신의 자작곡을 연주하며 큰 감동을 선사했다.

양 피아니스트는 학령기 학창 시절 경험과 음악가로서 꿈을 키워온 과정을 생생하게 전달하며 통합교육이 장애 학생의 잠재력을 발현시키는 데 얼마나 중요한지 입증했다.

장진호 춘천교육지원청 교육장은 이번 연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학교(원)장의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장애 학생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키고 성장을 돕는 교육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춘천교육지원청은 앞으로도 학교와 긴밀히 협력하여 다양성이 존중되는 학교 문화를 조성하고 장애 공감 문화 확산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정치일반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