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수능 응시생 1만 7천 명 돌파... 교육청, 관리본부 가동 '총력 지원'

41개 시험장, 645개 시험실 확보... 경찰·구급대원 120명 배치 안전 강화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광주광역시교육청전경 (사진제공=광주광역시)



[PEDIEN] 광주 지역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응시생이 1만 7천 명을 넘어선 가운데, 광주시교육청이 수능을 안정적으로 치르기 위한 컨트롤 타워 운영에 돌입했다. 시교육청은 13일부터 '2026학년도 수능 26지구 광주 관리본부'를 가동하고 시험 운영 전반에 대한 최종 점검에 나섰다.

올해 광주 지역 수능 응시생은 총 1만 7,731명으로, 이는 지난해보다 885명 증가한 수치다. 특히 재학생 응시자가 1만 2,658명으로 974명 늘어나 전체의 71.4%를 차지했으며, 졸업생은 4,243명(23.9%), 검정고시 등 기타 지원자는 830명(4.7%)으로 집계됐다.

시교육청은 수험생들이 안전하게 시험을 치를 수 있도록 일반시험장 40개교와 재난 대비 예비시험장 1개교를 지정했다. 총 645개의 시험실이 운영되며,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 시험장마다 환자용 별도시험실 1실과 미응시자 대기실 1실을 별도로 마련했다.

수능 관리본부는 시험 당일까지 수능 세부 시행계획 점검, 문답지 운송 및 보관 상태 확인, 감독관 배치, 부정행위 예방 대책 시행 등 시험 운영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시교육청은 이미 지난 5월부터 세 차례에 걸쳐 시험장 현장 점검을 완료하고 방송 시설 등을 보완하는 등 철저한 준비 과정을 거쳤다.

수능 당일 시험 운영을 위해 관리요원과 감독관 등 총 3,300여 명의 인력이 투입된다. 또한, 경찰 80명이 문답지 호송 및 시험장 주변 순회 지원에 나서며, 구급대원 40명이 시험장마다 1명씩 배치되어 비상 상황에 대비한다.

수험생들은 수능 전날인 11월 12일 오전에 반드시 수험표를 교부받아야 한다. 재학생과 졸업생은 소속 학교에서, 교육청에 원서를 접수한 검정고시 출신 및 타 시도 고교 졸업생은 광주교육연구정보원에서 수험표를 받는다.

수험표를 받은 후에는 지정된 시험장 위치를 확인하고 수험생 유의사항을 숙지해야 한다. 특히 휴대전화, 스마트워치 등 전자기기를 포함한 반입 금지 물품을 사전에 확인하여 불이익을 받는 일이 없도록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이정선 교육감은 "어렵고 힘든 과정을 이겨낸 수험생들이 원하는 목표를 이루기를 바란다"며 "광주 수험생들이 불편함 없이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수능시험에 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정치일반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