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천시, 수돗물 깔따구 유충 발견…24시간 비상 대응 체제 가동

정수장 유충 발견 후 수용가 추가 확인, 환경청과 합동 조사 및 원인 규명 착수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경기도 과천시 시청



[PEDIEN] 과천시에서 수돗물 깔따구 유충이 발견됨에 따라 시가 즉각 비상 대응 체제에 돌입했다.

시는 6일 일부 가정집 수돗물에서 유충이 발견된 직후 비상대책본부를 소집하고 24시간 대응 체제를 가동하는 한편 한강유역환경청 및 한국수자원공사와 함께 전체 구간에 대한 조사와 긴급 조치를 시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유충 발견은 지난 11월 3일 환경부의 과천정수장 관리 실태 점검 중 정수장 내에서 유충 의심 물질이 발견된 데 따른 것이다.

이후 국립생물자원관의 정밀 검사를 거쳐 시 전역 모니터링 과정에서 일부 가정집에서도 추가로 확인됐다.

시는 정수장 내 유충 발견 직후 한강유역환경청, 한국수자원공사와 함께 상황 판단 회의를 열고 정수 공정별 시스템 점검, 운영 주기 단축, 염소 주입 강화, 위생 관리 강화 등 1단계 응급 조치를 즉시 시행했다.

또한 정수 공정별로 유충을 걸러낼 수 있는 강화형 필터 보강 사업에 즉시 착수해 이달 중 완료를 목표로 신속히 추진하고 있다.

시는 이번 사태의 정확한 원인 규명을 위해 한강유역환경청에 정밀 역학 조사를 요청했으며 결과에 따라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시는 시 전역에서 수돗물 유충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며 맑은물사업소 내에 상황별 대응반을 편성해 사태가 종료될 때까지 24시간 근무 체제를 유지하기로 했다.

시는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이번 사태가 종료될 때까지 수돗물 음용을 자제하고 세척이나 청소 등 생활용수로만 사용할 것을 권고했다.

부득이하게 음용할 경우에는 반드시 끓여 마시도록 안내했으며 유충 등 이상이 발견될 경우 즉시 맑은물사업소에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특히 각급 학교, 복지 시설, 취약 계층 등에는 타 지자체와 한국수자원공사 등으로부터 확보한 수돗물을 우선 공급할 계획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깔따구 유충 섭취로 인한 인체 유해 사례는 국내외 모두 보고된 바 없다.

시는 시민이 수돗물이 안전하다고 느낄 때까지 모니터링과 정밀 조사를 지속하고 조속히 수돗물 공급이 정상화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방침이다.

신계용 과천시장은 “시민 여러분께 큰 불편과 불안을 드려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유충 유입 원인을 철저히 규명하고 강화된 정수 관리 체계를 통해 시민이 안심할 수 있는 수돗물 공급을 조속히 회복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조사 결과와 조치 상황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근본적인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서울특별시

경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