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탄소중립포인트제도’ 국내 최초 인증

2008년 첫 도입 후 온실가스 감축 성과·시민 참여 확산 인정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광주시, ‘탄소중립포인트제도’ 국내 최초 인증



[PEDIEN] 광주시가 지난 2008년부터 시행한 ‘탄소중립포인트제도’ 가 행정안전부로부터 국내 최초 시행 인증을 받았다.

광주광역시는 2일 오후 2시 서울 명동 커뮤니티하우스 마실에서 열린 ‘2025 정부혁신 최초·최고 인증패 수여식’에서 행정안전부로부터 ‘탄소중립포인트제도’ 국내 최초 시행 인증서를 받았다.

이번 인증은 광주시가 2023년 신청한 정부혁신 ‘최초’ 사례 가운데 하나로 전문가와 연구기관으로 구성된 선정위원회의 검증을 거쳐 이뤄졌다.

행정안전부는 2023년부터 국민 편의와 안전을 개선한 혁신사례를 대상으로 ‘최초’ 도입 기관과 분야별 ‘최고’ 운영 기관을 선정해 인증하고 있다.

광주시는 지난 2008년 4월 기후변화 대응과 시민 인식 전환을 위해 국내 최초로 ‘탄소은행’을 도입했다.

광주시는 광주은행과 협약을 맺고 전기·가스·수도 등 에너지 사용량 감축률에 따라 특전을 제공하는 제도를 운영해왔다.

제도 시행 6개월 만에 2만327가구가 참여해 5만7367㎏의 이산화탄소를 줄였다.

이는 소나무 2만520그루를 심은 효과와 같고 2000㏄급 승용차 27만대가 동시에 1㎞를 줄인 것과 동일한 성과다.

광주시는 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우수사례 공모 대통령상 △환경대상 저탄소녹색부문 대상 △대한민국 녹색경영대상 지속가능 발전분야 환경부장관상 △제4회 기후변화 그랜드 리더스 어워드 △기후변화 대응 선도 지자체 우수기관 선정 △중국 광저우 국제도시창신상 입선 △저탄소생활 실천운동 우수시 선정 등 국내외 다수의 상을 수상하며 선도적 역할을 해왔다.

고광완 행정부시장은 “광주시가 최초로 시행한 탄소중립포인트제는 작은 실천이 조금씩 모여 큰 변화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세계적 에너지 운동”이라며 “앞으로도 광주시는 이재명 정부와 함께 국민의 편의와 안전을 개선하는 제도를 지속 발굴해 대한민국을 선도하는 도시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시는 ‘광주다움 통합돌봄’, ‘공공심야어린이병원’, ‘초등 학부모 10시 출근제 도입’ ‘청년드림은행’ 등 전국 최초 운영사례에 대해서도 추가 검증을 기다리고 있다.

이같은 정책들은 광주시가 시민 삶의 질을 향상하고 사회적약자 보호를 위한 선도적 노력들로 전국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다.

제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