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산업, 탄소 감축 위해 정부-현대차-협력사 '맞손'

산업부·중기부, 현대차·기아와 부품사 탄소 감축 상생 협약 체결…'탄소발자국' 규제 대응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공급망 탄소 파트너십 구성 예시



[PEDIEN] 정부와 현대차·기아가 자동차 부품 협력업체들의 탄소 감축을 위해 협력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는 현대차·기아, 그리고 87개 자동차 부품 협력사와 함께 '자동차 공급망 탄소 감축 상생 협약식'을 개최했다.

이번 협약은 강화되는 국제 탄소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함이다. EU 등 주요국은 사업장뿐 아니라 제품 단위의 탄소 배출량까지 규제하는 추세이며, 탄소발자국이 새로운 무역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정부와 현대차·기아는 협력사의 저탄소 전환을 지원하여 자동차 산업 전반의 탄소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산업부는 올해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내년에 '산업 공급망 탄소 파트너십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중기부 역시 '중소기업 탄소중립 설비투자 지원' 사업 규모를 늘려 부품 중소기업의 저탄소 전환을 적극 지원한다.

이번 협약을 통해 1차 협력업체의 탄소 감축 설비 교체를 우선 지원하고, 이들이 지원받은 금액을 다시 2차 협력업체 설비 교체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연쇄적 탄소 감축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현대차·기아는 협력사 지원을 통해 완성차의 탄소발자국을 줄이고, 확보한 배출권을 배출권거래제에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박동일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이번 협약이 산업 전반의 그린 전환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노용석 중기부 1차관은 부품산업 내 중소기업 비중이 높은 자동차 산업에서 선제적인 감축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이번 협약이 공급망 저탄소 전환의 실질적인 협력 모델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자동차 공급망을 시작으로 전기·전자, 철강 등 다른 주력 산업으로 '공급망 탄소 파트너십'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내 산업의 '글로벌 탄소규제 대응 역량'을 강화한다는 목표다.

정치일반

사회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