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바이오 혁신 엔진으로... 과기정통부, 미래 토론회 개최

인공지능과 생명 과학 융합, 바이오 산업의 미래를 논하다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PEDIEN]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인공지능과 생명 과학 융합을 통한 혁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2025 생명 과학 미래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11월 12일 서울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열렸으며, 생명 과학 분야의 주요 정책 의제를 발굴하고 연구 개발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마련됐다. 올해로 11회째를 맞이한 이번 행사는 과기정통부가 주최하고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가 주관했다.

토론회에서는 'B.U.I.L.D. AIxBio: 생명 과학 미래를 완성한다'라는 주제 아래, 인공지능과 생명 과학의 융합이 가져올 연구 및 산업 혁신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진행됐다.

기조 강연은 네이버헬스케어연구소 나군호 소장이 맡아 '디지털 건강 관리 2025 : 생성형 인공지능의 시대'라는 주제로 인공지능과 생명 과학 융합의 미래상을 제시했다. 이어 세부 주제 발표에서는 인공지능과 생명 과학의 융합 동향, 현실 세계 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정밀의학, 인공지능 기반 생물 제조, 제도 혁신 과제 등이 논의됐다.

토론회에는 과기정통부 첨단바이오기술 과장을 비롯해 다양한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열띤 토론을 벌였다. 또한, 2025년 국가 생명 과학 정책 수립과 연구 개발 분야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둔 유공자 11명에게 과기정통부 장관 표창이 수여됐다.

김성수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은 “인공지능과 생명 과학의 융합은 생명 과학 연구 개발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하고 혁신 역량을 강화할 것”이라며, “인공지능-생명 과학 융합 생태계를 확립하고 제도적 기반을 공고히 하여 대한민국이 세계적인 생명 과학 선도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인공지능과 생명 과학의 융합을 통해 바이오 산업의 미래를 조망하고, 혁신적인 연구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치일반

사회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