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부산시가 어제 시청 대강당에서 ‘부산형 의료·돌봄 통합지원 정책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내년 3월 시행 예정인 ‘의료·요양 등 지역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에 대비하여, 지역 특성에 맞는 통합돌봄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시는 이번 포럼을 통해 구·군의 역할과 과제를 명확히 하고, 의료와 돌봄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포럼에는 시 사회복지국장을 비롯해 구·군 통합돌봄 담당 부서장, 보건소장 등 관계 공무원과 서비스 제공기관, 유관 단체 관계자 40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지역 실정에 맞는 통합돌봄 계획을 수립하고, 의료·요양·돌봄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연계·지원할 수 있는 ‘부산형 통합돌봄’ 협력체계 구축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포럼은 기조강연, 사례발표, 정책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권현정 영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기조강연에서 ‘부산형 통합돌봄은 구·군별로 어떻게 만들까?’라는 주제로 구·군의 통합돌봄 설계 방향을 제시했다.
이어진 사례발표에서는 이진선 광주 북구 통합돌봄정책팀장이 ‘의료·돌봄 통합지원사업 추진현황과 사례’를 발표하며 의료·돌봄 통합지원 모델 구축, 보건·의료 사업 연계, 조직 구성 등 추진 경과와 향후 과제를 공유했다.
정책토론에서는 한지나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가 좌장을 맡아 김태석 시 복지정책과 주무관, 강숙경 건강보험공단 부산·울산·경남본부 팀장, 안여현 해운대구 보건소장, 장지현 부산연구원 박사가 참여하여 열띤 토론을 벌였다.
토론에서는 부산형 통합돌봄 ‘부산, 함께돌봄’ 추진방향, 의료·돌봄 활성화를 위한 공단의 역할과 구·군과의 협업 방안, 보건소의 시선에서 본 의료돌봄통합의 현실과 과제, 의료·돌봄 통합지원과 지역사회보장계획 연계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한편 부산시는 지난 10월 ‘부산형 돌봄통합추진단’을 출범시켜 의료, 돌봄, 요양, 주거 서비스의 통합적 연계 및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구·군의 통합돌봄 역량 강화를 위해 통합돌봄 교육과 자문(컨설팅)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정태기 시 사회복지국장은 “이번 포럼을 통해 부산형 통합돌봄 지원 사업이 더욱 내실 있게 추진되기를 바란다”며, “시민들이 살던 곳에서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촘촘한 돌봄서비스 지원체계를 구축하여 시민 모두가 ‘안녕한 부산’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