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의회, 2026년 예산안 심사…미래 도시 전략 및 재난 대비 점검

광역도시계획, 공공임대 운영, 재난대응 예산 등 주요 현안 논의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산업건설위원회 대전시의회 제공



[PEDIEN] 대전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가 27일, 도시주택국과 건설관리본부 소관의 2026년도 예산안 및 주요 안건 심사에 돌입했다.

이번 심사에서는 대전의 미래 도시 전략, 공공임대 운영 효율성, 재난 대비 예산의 적절성 등이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

김영삼 부위원장은 2040년 대전권 광역도시계획 수립 용역과 관련해, 대전의 미래 공간 전략을 명확히 담아낼 것을 주문했다. 특히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등 핵심 산업정책과의 연계를 강조하며 전략적 대응을 촉구했다. 또한 대전-충남 행정통합 움직임이 장기 비전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여 중앙정부 및 인접 지자체와의 협력체계 강화를 제안했다.

박주화 의원은 구암 다가온 운영비 지원에 대해, 도시공사의 자체 수익 모델을 전제로 한 사업임에도 시가 운영 적자를 보전하는 구조가 반복될 가능성을 지적했다. 연간 운영관리비와 운영수입의 차액 발생을 언급하며, 다가온 전체의 구조적 적자 가능성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요구했다. 공공임대의 공공성은 유지하되, 상가 임대 및 운영 효율화를 통해 자립적 운영 방안을 강화할 것을 주문했다.

김선광 의원은 수해·설해 및 풍수해 대책 자재 구입 예산이 대폭 증액된 점에 대해 심도있는 질의를 진행했다. 시 분담 제설노선 확대가 주요 증액 사유로 제시된 것에 대해, 확대된 제설구간의 구체적 범위와 필요성에 대한 검증을 요구했다. 아울러 매년 반복 구매되는 재난대응 자재의 보관 상태와 염화칼슘 재고 폐기 여부 등을 짚으며 재고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재고관리 부실은 예산 낭비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철저한 관리체계 확립을 촉구했다.

지자체 의회

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