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희 의원, 경기도 유보통합 준비단 '핵심 빠진 탁상행정' 비판

로드맵 없이 돌봄 사업만 확대, '경기도형 유보통합' 시급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김영희 의원 유보통합준비단 핵심 로드맵 없이 주변 사업만 반복 지적 (경기도의회 제공)



[PEDIEN] 경기도의회 김영희 의원이 경기도교육청 유보통합준비단의 운영 실태를 강하게 비판했다.

김 의원은 준비단이 핵심 로드맵 없이 주변 사업만 반복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유보통합 추진 체계의 전면적인 재정비를 촉구했다.

김 의원은 18일 경기도교육청 행정사무감사에서 “유보통합준비단이 본래의 취지와는 달리 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특히 0~2세 영유아 정책의 공백을 가장 심각한 문제로 꼽았다.

김 의원은 “유보통합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0~5세 전체 체계를 하나로 설계해야 하지만, 교사 자격 기준, 배치 문제, 사립유치원 대응 방식 등 필수적인 과제들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강은하 유보통합준비단장은 정부 로드맵이 확정되지 않아 지자체와 협력하며 기반을 다지고 있다고 해명했지만, 김 의원은 “의지 부족을 법 탓으로 돌리고 있다”며 비판의 수위를 높였다.

김 의원은 해외 유보통합 사례를 언급하며 경기도교육청의 정책 방향에 우려를 표했다.

그는 “일본의 유보통합은 사실상 실패한 모델인데, 경기도교육청이 이를 그대로 따라가는 것 같아 우려스럽다”며 “스웨덴, 뉴질랜드처럼 일원화에 성공한 국가를 참고하여 ‘경기도형 유보통합 로드맵’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김 의원은 교원 재교육 지원 부족 문제도 지적했다.

그는 “현장 교사들은 AI, 디지털 연수만 반복될 뿐 영어, 수학, 과학 등 교과 전문성은 강화되지 않는다고 호소하고 있다”며 “교과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인 연수 지원을 확대해 달라”고 덧붙였다.

김 의원의 지적에 따라 경기도교육청의 유보통합 정책이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지자체 의회

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