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경남 산청군이 고령화와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과수 재배 모델을 성공적으로 구축했다. 산청군은 최근 지역 내 4개 농가, 1.4헥타르 규모에 미래형 '다축수형 과원' 조성을 완료하고, 노동력 절감과 생산성 향상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고 15일 밝혔다.
다축수형은 기존의 단일 주간 방식과 달리 한 나무에서 여러 갈래의 줄기를 키워 나무의 골격을 분산시키는 선진 재배 방식이다. 이 방식은 햇빛과 바람이 나무 전체에 고르게 투과되도록 해 병해충 발생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효과를 가져온다.
특히 나무 높이를 낮게 유지할 수 있어 관리와 수확 작업이 편리해진다. 수관 내부까지 광 투과율이 높아지면서 과실의 착색과 당도가 향상되며, 통풍 개선과 약제 살포 효율 증가로 병해충 관리가 더욱 용이해지는 장점도 있다.
다축수형은 전정(가지치기) 및 수확 등 주요 작업의 노동 강도를 크게 낮춰 기계화에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줄기를 여러 갈래로 키워 나무 전체의 수세를 안정화함으로써 나무의 수명을 연장하고 생산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유리하다.
산청군이 제시한 이번 시범사업 결과가 알려지면서 현재 지역 농가들의 문의가 쇄도하는 등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산청군은 다축수형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보급 면적을 확대하고 재배 기술 지도를 강화할 계획이다.
군은 복숭아, 배, 사과, 만감류 등을 대상으로 실증시험포장을 운영하여 과종별 최적의 수형 모델을 선발하고 농가 적용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이승화 산청군수는 "다축수형 과원은 농업의 미래를 준비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산청군이 과수 농업의 미래를 선도할 수 있도록 현장 맞춤형 지도와 새로운 재배기술 보급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