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시, 수돗물 안전 '중대시민재해' 특화... 전문 비상대응체계 가동

낙동강 수질사고·유충 발생 등 9개 위기 시나리오 추가... 상수도 전문 인력으로 조직 구성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김해시가 수돗물 공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중대시민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상수도 분야 안전계획을 전면 최신화하고 전문화된 위기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 시는 지난해 경남 최초로 안전계획을 수립한 데 이어, 최근 타 지자체의 수질 사고 사례 등을 반영해 6개월간의 검토를 거쳐 계획을 변경 수립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최신화는 2022년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시행 이후 수돗물을 '중대재해 대상 제조물'로 분류하고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확보하기 위한 조치다. 특히 시는 기존 안전관리계획과 별도로, 전문성이 요구되는 상수도 분야의 비상대응체계를 특성화하는 데 중점을 뒀다.

변경 수립된 안전계획에는 2023년 수립된 상황별 대응 체계에 더해 9가지 주요 위기 상황이 추가됐다. 구체적으로 낙동강 표류수 수질사고, 수돗물 유충 발생, 소독부산물(THMs) 기준 초과, 정수장 사고 등 시민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고 유형별 대응 방안과 부서별 임무가 세밀하게 담겼다.

김해시는 평상시에는 시의 일반적인 안전관리 체계 내에서 움직이지만, 상수도 관련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즉시 상수도 전문 인력으로 구성된 별도의 비상대응조직을 가동한다. 이는 중대재해와 연계해 조직을 구성한 것으로, 신속한 상황 종료와 피해 최소화를 목표로 한다.

시는 이와 함께 기존 상수도 관망 자료를 활용한 재난대응 모의훈련을 정기적으로 실시해 부서와 개인별 임무를 숙지하도록 했다. 수도과와 정수장 등 관련 부서는 수처리제 관리와 시설물 점검을 병행하며 상황별 훈련을 구체화하고 있다.

박창근 상하수도사업소장은 “최신화된 안전계획과 재난상황대응 체계를 통해 단수나 수질사고 등 재난으로 인한 시민과 사업장의 피해를 최소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는 최근 타 지자체의 수돗물 공급 문제와 수질사고에 경각심을 갖고 안정적인 수돗물 공급에 최선을 다할 방침이다.

지자체의회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