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창휘 의원, 경기도 물관리 시스템 혁신 촉구…"예방 중심 정책 전환 시급"

전국 수해 피해 절반 이상이 경기도에 집중, '복구' 악순환 끊어야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임창휘 의원 물관리 체계의 통합과 복구가 아닌 예방 중심으로 물관리 전환 필요 (경기도의회 제공)



[PEDIEN] 경기도의회 임창휘 의원이 경기도 물관리 행정의 대전환을 촉구하며,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예방' 중심의 정책 전환을 강조했다.

최근 5년간 경기도에 전국 지방하천 수해 피해액의 절반 이상이 집중되는 상황에서, 임 의원은 기존의 '치수'와 '생태'로 나뉜 이원화된 물관리 체계가 비효율을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조직 일원화와 함께 예산 투입의 패러다임을 '복구'에서 '예방'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임 의원은 경기도의 수해 피해 집중 원인으로 2020년 하천 정비 사업의 지방 이양 후 지방비 부담 증가와 그로 인한 정비율 저하를 꼽았다. 이러한 상황이 수해 복구 비용의 반복 지출이라는 악순환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임 의원은 '피해 복구' 중심의 예산 집행을 '선제적 예방' 중심으로 전환할 것을 제안했다. 치수와 환경을 통합 설계하여 홍수 안전성을 확보하고 수해 피해액을 최소화하는 전략적 투자가 시급하다는 것이다.

조직 통합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임 의원은 현재 경기도의 물 관리 체계가 '치수' 목적의 하천과와 '생태·수질' 목적의 수자원본부로 이원화되어 통합 관리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며, 수자원본부를 '수자원국'으로 확대·통합하고 예산과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AI 및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물 관리' 재해 예측 시스템 구축을 제안하며, 이를 3기 신도시 등에 선제적으로 적용하여 국제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해외 진출의 교두보로 삼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임 의원은 상수원 주변 지역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책 마련을 요구하며, 신규 생태하천 복원사업 선정 시 상수원 주변 지역에 우선순위를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을 촉구했다. 또한 하천 정비 시 치수·수질 개선과 함께 주민 친수 공간 확보 계획을 통합하여 주민 불편 해소에 적극 기여해 달라고 당부했다.

지자체 의회

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