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초고령사회 대비 요양 시스템 정비 토론회 열어

김민호 의원 주최, 요양보호사 처우 개선 및 공공시설 확충 논의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김민호 의원, “초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요양보호 시스템 정비방안”을 위한 토론회 개최 (경기도의회 제공)



[PEDIEN] 경기도가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요양보호 시스템 정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토론회를 개최했다.

김민호 경기도의회 의원이 좌장을 맡아 진행된 이번 토론회는 양주시 옥정호수도서관에서 열렸으며, 요양 서비스의 질 향상과 요양보호사 처우 개선 등 시급한 과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김 의원은 “돌봄은 인권의 기본”이라며 요양보호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요양 서비스의 공공성 강화와 처우 개선이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임을 강조했다.

토론회에서는 노인 인구 증가와 그에 따른 돌봄 수요 급증, 요양보호사 인력 부족 문제 등 현실적인 어려움이 제시됐다. 김명근 서정대학교 교수는 양주시 노인 장기요양보호 시스템의 발전적 미래를 위한 제언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지적했다.

패널 토론에서는 요양 서비스 질 향상, 공공요양시설 확충, 민간기관 관리체계 개선, 요양보호사 인력 양성 체계 보완 등 다양한 정책 대안이 논의됐다. 김가람 경민대학교 교수, 호미자 경기도 노인복지과장, 김금숙 양주시 사회복지과장, 이희종 경기복지재단 연구위원, 양문자 사임당요양원 대표 등이 참여하여 심도 있는 논의를 펼쳤다.

김민호 의원은 마무리 발언에서 “경기도는 초고령사회를 가장 빠르게 맞이하는 지역 중 하나”라며 요양정책이 공동체의 지속가능성과 직결된 문제임을 강조했다. 또한, 행정 편의가 아닌 시민의 권리로서 복지정책에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다.

경기도의회는 이번 토론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요양보호 인력 처우 개선, 공공요양시설 확충, 지역 맞춤형 돌봄 서비스 구축, 요양정책 컨트롤타워 마련 등을 포함한 후속 정책 추진을 검토할 계획이다.

이번 토론회가 고령사회 돌봄체계 전환의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경기도의회는 앞으로도 도민의 삶과 밀접한 정책을 만들어가는 데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지자체 의회

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