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34곳, '제2의 강릉' 될 위험…구조적 물 위기 경고

단일 수원 80% 이상 의존 지자체 21% 달해, 가뭄 예·경보 3회 이상 지역도 34곳 확인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김형동 의원님 사진 (사진제공=국회)



[PEDIEN] 올여름 강릉에서 발생했던 초유의 물 부족 사태가 전국 곳곳에 잠재된 구조적 물관리 위기를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형동 국민의힘 간사가 기후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160개 지자체 중 34곳이 생활·공업용수의 80% 이상을 단일 수원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강릉 사태가 특정 지역의 문제가 아닌, 기후 위기 시대에 전국적으로 확산된 구조적 취약점임을 보여주는 핵심 지표로 해석된다. 김 의원은 구조적 개선 없이는 언제든 '제2, 제3의 강릉'이 재현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 강릉은 지난 8월 주요 상수원인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역대 최저치인 11.5%까지 급락하면서 20만 시민이 하루 15분 제한 급수를 겪는 단수 사태를 맞았다. 강릉은 생활용수의 87%를 오봉저수지 한 곳에 의존하고 있어 단일 수원 의존의 근본적 한계를 여실히 드러냈다.

이처럼 다목적댐, 용수댐, 저수지 중 단 한 곳만을 수원으로 사용하는 지자체는 전국 160곳 중 65곳에 달했다. 이 가운데 강릉처럼 단일 수원의 공급 비율이 80%를 넘는 고위험 지자체는 전체의 21%인 34곳이었다.

더욱 심각한 점은 이들 지역이 이미 가뭄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강릉의 주요 수원인 오봉저수지는 2017년 이후 세 차례의 가뭄 예·경보가 발령된 바 있다.

그러나 보령, 서산, 홍성 등 전국 34곳의 지자체에서는 강릉보다 더 많은 3회 이상의 가뭄 예·경보가 발령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가뭄 위험이 이미 전국적으로 확산된 구조적 위기임을 방증한다.

김 의원은 "강릉 사태는 기후위기 시대의 물관리 시스템이 이미 한계에 다다랐음을 알리는 경고"라며 "구조적 개선 없이는 제2, 제3의 강릉을 피할 수 없는 만큼, 국가 차원의 물관리 대전환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지자체 의회

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