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 내항 재개발에 속도… 해수부 전담인력 2026년부터 가동

전담조직 신설 확정, 18년 숙원 사업 본격화… 원도심 재도약 발판 마련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인천항 내항 재개발에 속도… 해수부 전담인력 2026년부터 가동



[PEDIEN] 인천광역시는 인천항 내항 재개발과 관련해 해양수산부 내 전담인력 신설 안건이 정부와 협의를 마쳐 2026년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인천시와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12월 ‘인천항 내항 1·8부두 재개발사업 실시협약’과 함께 ‘인천항 상생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체계적인 항만 재개발 추진을 위한 전담조직 설립에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지난 3월 해양수산부는 ‘인천항내항재개발전담조직 신설’ 내용으로 하는 2026년도 정기직제 반영 안건을 행정안전부에 제출했다.

인천시는 국회, 행정안전부 등을 지속 방문하며 내항 재개발 전담조직 설립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시켜 왔다.

인천항 내항 재개발은 총 3단계로 추진된다.

1단계인 1·8부두 재개발 사업은 지난 4월 중앙투자심사를 통과했으며 올해 안으로 실시계획 승인을 목표로 신속히 진행 중이다.

2단계 사업은 국가계획 반영을 위한 협의가 이어지고 있어, 2007년 시민청원으로 시작된 내항 재개발이 약 18년 만에 인천시 주도로 본격화되고 있다.

부산의 경우, 부산항 북항 재개발은 2019년부터 해양수산부 내 전담조직인 ‘부산항북항통합개발추진단’ 이 운영되며 국가적 지원 속에 1단계 준공과 2단계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등 성과를 거뒀다.

이번 정기직제 반영으로 인천항 내항 재개발은 총 3명의 전담 인력이 맡게 되며 사업관리 및 기획 업무를 체계적으로 추진해 정책의 일관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2026년 정기직제 신규 반영: +2명, 기존 5급 1명인천시는 이번 전담인력 확보를 통해 1단계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향후 단계적 재개발에 맞춰 “인천항내항재개발추진단”으로 확대 개편하는 등 국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을 이끌어낼 계획이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이번 정기직제 반영은 정부와 인천시의 적극적인 정책 교감의 성과이며 인천항 내항 재개발이 국가정책으로서 중요한 기반을 마련했다는 의미가 있다”며 “1단계 사업의 적기 착공을 시작으로 재개발 본격화와 함께 원도심의 혁신적 변화를 신속히 이끌겠다”고 밝혔다.

서울특별시

경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