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프로세스 품질인증 문턱 낮춘다

신생기업·중소기업의 소프트웨어 품질관리 역량 강화 위해 인증 제도 개선 추진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소프트웨어프로세스 품질인증 문턱 낮춘다



[PEDIEN]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신생기업과 중소 소프트웨어 기업의 소프트웨어프로세스 품질인증 획득을 장려하기 위해 소프트웨어프로세스 품질인증 제도를 개선한다고 밝혔다.

제조·의료·교통 등 다양한 산업에서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인공지능, 인터넷 기반 자원공유 등의 혁신 기술 접목으로 인해 소프트웨어 품질 관리 역량이 기업의 생산성과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많은 소프트웨어 기업이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품질인증을 통해 소프트웨어 품질관리 역량을 인정 받을 수 있도록 등급 체계 개편, 신청요건 조정 등 진입장벽을 완화할 예정이다.

먼저, 신생기업 등 소규모 소프트웨어 기업을 위해 현행 2등급과 3등급으로 운영하던 등급 체계에서 1등급을 신설해, 총 3개 등급 체계로 개편한다.

신설된 1등급은 기존 5개의 심사영역 중 소프트웨어 품질 관리의 기본 역량에 관한 ‘ 과제 개발’ 1개 영역만을 심사하며 기존 2등급 대비 현장심사 기간과 비용을 50% 수준으로 줄여 인증 부담도 최소화 할 계획이다.

또한, 1등급 인증을 획득한 기업도 공공 소프트웨어 사업의 기술성 평가 및 하도급 계약의 적정성 판단 시 가점 혜택을 부여하고 ‘소프트웨어 고성장모임’등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품질 인증 획득 시 가점을 받는 정부 지원 사업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한편 전체 소프트웨어프로세스 품질 인증 등급에 대해서는 신규·연장 인증 신청요건을 완화하고 기업의 인증 획득 지원을 위해 기업별 맞춤형 컨설팅과 교육을 제공하며 인증 신청서 작성 방침도 마련·배포할 예정이다.

인증 등급 신설, 신청 요건 완화 등 제도개선 사항은 ‘소프트웨어 진흥법 시행규칙’ 개정 및 인증기관 지침 개정을 거쳐, 다음달 본격 시행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황규철 소프트웨어정책관은 “소프트웨어는 국가 인공지능 경쟁력의 기반이며 소프트웨어 품질 관리 역량이 기업의 경쟁력과 신뢰성 확보에 중요하다”며 “금번 제도 개선이 소프트웨어프로세스 품질인증 활성화로 이어져 국내 소프트웨어 기업의 품질관리 역량이 세계적 수준으로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정치일반

사회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