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오수 경기도의원, 피트모스 기반 축분 자원화 확대 및 정책 연계 강조

악취 문제 해결 위한 저악취형 공동퇴비사 모델 설계 제안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이오수 의원 피트모스 기반 축분 자원화 확대 전용 공동퇴비사 정책 연계 필요 (경기도의회 제공)



[PEDIEN] 이오수 경기도의회 의원은 축산분뇨 자원화 정책의 확대와 부서 간 연계 체계 강화를 촉구했다.

특히 피트모스를 활용한 축분 자원화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며 주목받고 있다.

이 의원은 경기도가 추진 중인 피트모스 기반 수분조절제 실증시험이 긍정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악취 민원이 심각한 양돈, 양계 농가로의 확대가 시급하다고 지적하며 2026년까지 종합적인 정책 패키지로 전환할 것을 제안했다.

기존 공동퇴비사의 악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악취형' 공동퇴비사 모델 설계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피트모스 기반 축분은 농장 단계에서 부숙이 완료되므로, 이를 전용으로 수용하고 제품화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현재 경기도의 친환경 과학순환농업 공동퇴비사 지원사업이 장비 위주로 편중되어 있다는 점도 지적하며, 고품질 축분 자원의 저장, 포장, 유통 기반을 갖춘 새로운 정책 유형 도입을 제안했다.

한편 반려동물 복지 시설인 '반려마루'에 대해서는 도민 친화적 캐릭터를 개발하여 정책 인지도를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설 내 안내판, 체험 프로그램, 홍보물 등에 캐릭터를 적극 활용하여 도민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의원의 제안은 축산분뇨 처리 문제 해결과 반려동물 정책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자체 의회

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