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정하용 경기도의회 의원이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에서 경기도의 행정 운영 전반에 걸쳐 날카로운 비판을 쏟아냈다. 킨텍스 감사 선임 과정의 투명성 문제, 소상공인 지원 사업의 허점, 노동 정책의 문제점 등을 지적하며 개선을 촉구했다.
정 의원은 먼저 킨텍스 감사 선임 과정의 불투명성을 지적했다. 감사 모집 공고의 자격 요건과 임원추천규정이 달라 혼선을 초래했다는 것이다. 그는 경력 검증 및 추천 절차 전반에 투명성을 확보하고, 감사 직책에 걸맞은 자격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상공인 활성화 지원 사업에 대한 비판도 이어졌다. 정 의원은 사업이 타 지역 업체와 인력 위주로 진행된 사례를 언급하며, 도내 소상공인을 위한 사업이라면 경기도 내 업체와 인력을 우선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소상공인연합회 지부회장들이 심사 명목으로 수당을 받은 것에 대해 내부 거래를 지양해야 한다는 원칙에 어긋난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배달 플랫폼 공정거래 실태 조사와 관련해서도 문제점을 제기했다. 일부 플랫폼의 결제 방식이 소상공인에게 불리하게 운영되고 있다는 민원을 언급하며, 정산 지연 여부와 결제 시스템 운영 실태를 면밀히 조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노동 정책에 대한 질타도 이어졌다. 정 의원은 경기도 노동복지센터 무단 점거 문제와 불법 현수막 게시 문제에 대한 조치 현황을 확인하며, 퇴거 이행을 위한 행정 조치와 현수막 게시대 관리 주체인 수원시와의 협력 상황에 대한 명확한 설명을 요구했다.
특히, 정 의원은 근로시간 단축 4.5일제 시범 사업에 대한 예산 증액에 강하게 반발했다. 올해 시범 사업 평가 결과가 나오기도 전에 2026년 본예산에 200억 원을 증액 편성하는 것은 무리한 결정이라고 비판하며, 올해 26개 기업이 중도 포기한 사업을 확대 추진하는 것은 타당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도민의 예산이 투명하게 집행될 수 있도록 심층적인 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공정하고 투명한 행정을 위해 감사원 감사, 외부 감사 등 후속 조치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