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의회 김선광 의원, 시내버스 안전 문제와 어린이 무임교통 정책 지연 질타

현장 중심의 실효성 있는 교통 정책 마련 촉구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산업건설위원회 김선광 의원 (대전시의회 제공)



[PEDIEN] 대전시의회 김선광 의원이 시내버스 안전 문제와 어린이 무임교통 정책 지연을 강하게 비판하며,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교통 정책으로의 전환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12일 열린 산업건설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시내버스 사고 대응의 실효성 부족과 어린이 무임교통 정책의 더딘 진행 상황을 지적했다.

김 의원은 시 전체 교통사고 감소 추세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의 일상과 밀접한 시내버스 차대차 사고가 오히려 증가한 점을 짚었다. 그는 사고 원인을 단순히 고령층 이동 증가로 설명하는 것은 실제 사고 통계와 맞지 않다고 비판했다.

특히 버스 후면 조명 시범 사업에 대해, 참여율이 저조한 점을 지적하며 실질적인 사고 예방 효과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가장 많은 차량을 보유한 업체가 시범 사업에 참여하지 않은 점을 꼬집으며, 사고 예방 대책이 위험 지점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김 의원은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추진에 대해, 구호만 외치는 것보다 운전자 안전 교육 강화와 사고 재발 방지 시스템 구축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어린이 무임교통 예산 미편성 문제도 도마 위에 올랐다. 김 의원은 관련 조례 제정과 사회보장협의 완료에도 불구하고, 어린이 무임교통 예산이 제대로 편성되지 않은 점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어르신 무임교통 예산과는 대조적으로 어린이 정책이 계속 미뤄지고 있는 상황에 대해 시민들에게 명확한 설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부산, 광주, 제주, 충남 등 다른 지역에서는 이미 어린이 무임교통 정책을 시행하고 있거나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대전시가 시대에 뒤쳐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어린이 무상교통은 단순한 이동 지원 사업이 아닌, 미래의 대중교통 이용 습관을 형성하는 중요한 투자라고 강조하며, 대전시의 적극적인 정책 추진을 촉구했다.

지자체 의회

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