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윤태길 의원, “연구의 질을 담보하지 못하는 복지행정은 도민 복지의 후퇴”

경기복지재단 행정사무감사서 인력 구조·임금피크제 운영 문제 개선 주문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윤태길 의원 연구의 질을 담보하지 못하는 복지행정은 도민 복지의 후퇴 (경기도의회 제공)



[PEDIEN]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윤태길 의원은 11월 10일 제387회 정례회 중 경기도복지재단 행정사무감사에서 “연구의 질을 담보하지 못하는 복지행정은 도민 복지의 후퇴”며 재단의 열악한 연구 인력 구조와 실효성 없는 임금피크제 운영 문제를 강하게 비판했다.

윤 의원은 “복지재단은 경기도 복지정책의 두뇌이자 핵심 싱크탱크로서 정책 개발과 현장 지원을 이끌어야 한다”며 “그러나 현재의 인력 구조로는 ‘복지정책의 미래’를 제시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윤 의원이 제시한 자료에 따르면, 복지재단 연구위원 1인당 평균 과제 수행 건수는 연 5.4건으로 이는 경기연구원과 여성가족재단의 2.5배 이상이다.

반면 연구지원 인력은 0.6명 수준, 행정지원 인력은 사실상 전무해 “박사급 연구위원이 행정·정산·보고서 업무까지 떠안는 비효율적 구조”고 지적했다.

윤 의원은 “이것은 연구 역량 강화가 아니라 연구자의 희생을 전제로 한 구조”며 “1,420만 도민의 복지정책을 책임지는 기관이라면 최소한의 행정·연구지원 인력을 확보해 연구의 질을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윤 의원은 재단의 임금피크제 운영의 실효성 부재도 함께 지적했다.

그는 “청년 고용 확대를 위해 도입된 임금피크제가 실제 신규 채용으로 이어진 사례가 한 건도 없다”며 “임금만 줄고 일자리는 늘지 않는 제도는 더 이상 ‘상생’이 아니라 행정의 자기만족”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목적을 상실한 제도는 단순한 임금 삭감일 뿐”이라며 “복지재단은 직원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제도의 존속 여부를 재검토하고 청년 고용이 실질적으로 확대될 수 있는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윤 의원은 감사 마무리 발언에서 “복지재단이 진정한 정책 싱크탱크로 거듭나려면 행정의 효율보다 연구의 질, 형식적 제도보다 현장의 실효성을 우선해야 한다”며 “도의회는 도민의 삶을 바꾸는 복지정책이 제대로 연구되고 실현될 수 있도록 끝까지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지자체 의회

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