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서울 강서구가 교육, 안전, 복지 등 5대 분야에 걸쳐 인공지능(AI) 기반의 행정 혁신과제 22개를 확정하고 ‘AI 강서’ 특화도시 실현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구는 AI를 활용한 실종자 고속검색 시스템, 자율주행 로봇 배달 서비스 등 주민 생활과 밀접한 서비스를 대폭 확대하며 행정 효율화와 주민 편의 증진을 동시에 꾀한다.
강서구는 AI 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지난 3월 ‘AI 행정혁신추진단’을 출범하고 ‘인공지능 기본조례’를 제정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다졌다. 이를 바탕으로 이번 혁신과제들을 확정하고, 생활 전반에 걸쳐 AI 기반 서비스를 속도감 있게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주민 안전 분야에서 AI 기술의 활용도가 높다. 구는 ‘AI 기반 실종자 고속검색시스템’을 도입해 방대한 CCTV 영상을 1분 내 분석 및 추적할 수 있게 했다. 또한 지능형 선별관제시스템을 통해 폭력이나 쓰러짐 등 이상행동을 자동 인식하여 즉시 초동 대응력을 높인다. 내년에는 봉제산에 AI 산불감시 시스템을 조성하는 등 재난 예방 체계도 강화할 계획이다.
복지 분야에서는 맞춤형 돌봄 서비스가 강화된다. 사회적 고립 가구를 위한 AI 음성통화 안부확인 서비스가 운영되며, 독거노인의 활동, 온도, 습도 등을 상시 모니터링하는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통해 이상 징후를 조기에 감지한다. 건강 분야에서는 AI 감염병 예측시스템을 구축하고, 의료 접근성이 낮은 주민을 위한 ‘찾아가는 결핵검진’에는 AI 영상판독을 적용해 진단 속도와 정확도를 높인다.
행정 효율화도 주요 목표다. 구는 생성형 AI 기반의 문서 작성 지원 플랫폼을 도입해 공무원의 업무 생산성을 높이고, 신청사 내 ‘AI Zone’을 마련해 민원인이 직접 AI 기반 민원 안내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홍보 콘텐츠 제작 과정에도 AI를 활용해 시나리오 작성과 영상 편집을 지원하며, 언론 보도자료에 필요한 이미지를 AI로 생성해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신성장 분야에서는 지역 산업과의 융합을 추진한다. 소상공인을 위한 AI 기반 상권분석 서비스와 마케팅 교육을 지원한다. 특히 오는 17일부터는 관내 공원과 상권을 중심으로 자율주행 로봇을 활용한 재활용품 수거 및 배달 서비스 시범사업을 시작하여, 주민들이 일상에서 AI 기술을 체감하도록 유도한다.
강서구는 이러한 AI 행정 비전을 공식화하기 위해 오는 11월 4일 서울창업허브M+에서 ‘AI 강서 특화도시 비전 선포식’을 개최한다. 이 자리에서 구는 경찰서, 소방서, 교육지원청, 기업 등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민관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할 예정이다.
진교훈 강서구청장은 “AI 행정혁신을 통해 주민이 체감하는 서비스 혁신과 행정 효율화를 동시에 실현할 것”이라며 “강서구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AI 특화도시로 자리매김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