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AI·IoT로 고립가구 10만 건 안부 확인... '스마트 돌봄' 성과

전력·통신 데이터 분석해 위기 감지... 3년간 718건 현장 출동으로 안전 확보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서울특별시청사(사진=PEDIEN)



[PEDIEN] 서울시가 사회적 고립 가구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도입한 인공지능(AI) 및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스마트안부확인 서비스'가 3년 만에 10만 건이 넘는 안부 확인 실적을 기록했다. 이 서비스는 고독사 예방을 넘어 고립 가구의 일상을 촘촘하게 관리하는 안전망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평가다.

서울시는 2022년 10월 전국 최초로 이 서비스를 도입했다. 이는 대상 가구의 전력 사용 패턴이나 통화 수발신 등 생활 데이터를 AI가 분석하여 평소와 다른 이상 신호가 감지될 경우 즉시 대응하는 방식이다. 현재 서울시고립예방센터(센터)는 7,459가구를 대상으로 스마트 플러그, 모바일 앱, IoT 센서 등을 활용해 안부를 살피고 있다.

센터가 지난 3년간(2025년 8월 기준) 확인한 안부는 총 10만 296건에 달한다. 이 중 전화나 문자를 통한 확인이 8만 2,380건(81.2%)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위기 상황으로 판단되어 현장에 즉시 출동한 사례는 718건(0.7%)이었다.

이 서비스는 평일 주간(오전 9시~오후 6시)에는 동주민센터가 담당하지만, 고립 가구에게 취약한 시간대인 평일 야간(오후 6시~익일 오전 9시)과 주말·휴일에는 센터가 관제와 출동을 전담한다. 이상 신호 발생 시, 먼저 전화나 문자로 연락을 시도하고 안부가 확인되지 않으면 현장으로 즉시 출동한다.

현장에서도 응답이 없을 경우 경찰 및 소방서와 공조하여 개문 조치를 진행해 안전을 확보하는 체계다. 센터는 단순한 안부 확인을 넘어, 현장 출동 과정에서 발견된 돌봄 필요 가구에 대해서는 맞춤형 복지 서비스를 연계하고 후속 모니터링까지 제공한다.

이수진 서울시고립예방센터장은 “스마트안부확인 서비스가 사회적 고립 가구의 일상과 삶을 지켜주는 안전망 역할을 하고 있다”며 “앞으로 더욱 촘촘한 스마트 돌봄 체계를 구축하여 사회적 고립과 고독사 예방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특별시

경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