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넷플릭스 콘텐츠를 통해 한국 전통의 상징으로 떠오른 ‘갓’이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지만, 정작 갓을 만드는 기술인 ‘갓일’을 비롯한 국가무형유산은 심각한 계승 위기에 직면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로 전승 기반이 급격히 약화되는 가운데, 관련 예산마저 제자리걸음을 하면서 전통 기술의 명맥이 끊길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민형배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가유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국가무형유산 전승 취약종목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현재 국가무형유산 전승 취약종목 25개 중 23개 종목은 5년 이상 취약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특히 갓일 보유자는 전국에 4명뿐이며, 이들의 평균 연령은 약 83세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갓일 외에도 전통장(94세), 발탈(86~91세), 악기장(편종·편경, 90세) 등 취약종목 보유자의 72%가 70대 이상 고령층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전승 기반이 급격히 약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소멸 위험이 커 국가가 긴급히 보호하는 ‘국가긴급보호무형유산’ 4종목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이 중 나주의 샛골나이, 바디장, 백동연죽장 등 3개 종목은 현재 보유자가 공백 상태이며, 이수자 확보조차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바디장의 경우 보유자가 사망한 지 20년이 지났음에도 후임 보유자를 지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전승 단절의 심각성을 보여줬다.
전승 인력의 고령화와 공백이 심화하고 있지만,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예산 지원은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국가무형유산 전체 예산은 2024년 639억 원까지 확대됐으나, 2025년에는 되레 90억 원 이상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소멸 위험이 가장 큰 국가긴급보호무형유산의 보호·육성 예산은 5년째 연 1억 6천만 원에 머물러 있는 상황이다. 민 의원은 “세계가 K-컬처의 전통기술에 감탄하는 사이, 현장에서는 몇 분의 고령 보유자가 겨우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고 우려했다.
민 의원은 “이대로면 국가무형유산의 명맥이 끊길 수 있다”고 경고하며, 보유자 공백 종목의 신규 보유자 발굴과 보호·육성 지원 확대를 위한 정책 보완 및 예산 증액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한편, 민 의원은 전통문화의 콘텐츠 산업 확장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을 위해 지난 9월 ‘케데헌법(콘텐츠산업 진흥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