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관악구가 복지플래너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방문상담을 수행할 수 있도록 ‘2025년 복지플래너 위기사례 대응 매뉴얼’을 자체 제작·배포한다.
그동안 방문상담에 대한 세부 지침이 부족해 신규 및 저연차 복지 담당자가 현장에서 어려움을 겪는 사례가 많았다.
이에 따라 복지욕구에 맞는 서비스를 적기에 제공할 수 있도록 단계별 점검 항목 및 유의 사항을 쉽게 정리해, 주민센터를 비롯한 일선 복지현장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자 매뉴얼을 새로 제작했다.
이번 매뉴얼은 △상담 체크리스트 분석 △통합사례관리 케이스 분석 △관련 실무자 의견수렴 등의 과정을 거쳐 체계적으로 기획됐다.
매뉴얼에는 △방문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첫인사 △외모나 언행을 통한 문제 파악 △10대 욕구파악 방법 △복지서비스 연계방법 등 현장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실무 정보를 수록해 대상자의 욕구와 위기상황 등을 빠르게 파악해 맞춤형 지원이 가능하다.
한편 구는 위기가구 집중관리를 위해 ‘찾아가는 복지플래너 운영 계획’을 수립해 신규 사례관리 대상자 선정 및 관리를 위한 주 1회 내부 사례회의 의무화, 복지플래너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실시 등 방문상담 활성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특히 구는 심리적·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방문 상담을 꺼리는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주민의 건강 상태와 생활 실태를 반영한 식료품 및 생필품 등 1만원 상당의 방문 물품을 지원해 대상자의 심리 장벽을 낮추고 상담 접근성을 높였다.
지난해 구는 거동이 불편한 주민에게 낙상 방지용 매트를 지원하거나, 죽과 같은 대체식을 전달하는 등 4,000여 가구에 필요한 생활용품을 전달했다.
이에 그간 방문을 거부하거나 기피하던 가구도 라포가 형성돼 구는 대상자에게 △똑똑 안부확인서비스 △관계망 형성 사업 △돌봄 SOS 등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적절한 시기와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었다.
박준희 관악구청장은 “현장의 목소리를 담은 실용적인 매뉴얼로 복지담당자의 전문성과 대응력을 높이고 위기가구가 소외되지 않도록 촘촘한 복지 실현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