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유진 의원“ TBS는 33년 이어온 지역공영방송의 상징 , 의회 권력의 월권으로 문닫게 해서는 안돼 ”

서울시는 시민참여형 지역공영방송의 가치를 정치이념으로 훼손하지 말라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박유진 의원“ TBS는 33년 이어온 지역공영방송의 상징 , 의회 권력의 월권으로 문닫게 해서는 안돼 ”



[PEDIEN] 1월 25일 ‘TBS, 이대로 멈춰서야 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서울시의회 의원회관 회의실에서 토론회가 열렸다.

당초 1월 1일부터 TBS에 대한 서울시의 재정 지원이 중단될 계획이었으나, 서울시의회 정례회 본회의의 가결로 5월 31일까지 중단이 유예됐다.

“TBS를 살리기 위한 것이 아니라, 산소호흡기를 완전히 떼기 위한 것”이라는 국민의힘의 발언 그대로 , 5개월동안 93억원 서울시의 지원이란 TBS 정상화가 아닌, 직원 급여, 퇴직금의 지원에 불과하다.

정준희 교수 , 송지연 노조위원장 등 토론회 참석자들은 TBS 폐국 논의가 근본적으로 새로운 유형의 언론탄압이자, 초현실적인 탄압이라고 입 모아 이야기했다.

박유진 의원은 33년 이어온 시민참여형 지역 공영방송의 가치가 가장 중요한 본질이라고 단언했다.

자본과 권력에 휘둘리지 않을 수 있는 공영방송의 가치를 민영화란 명목으로 시장논리에 던져버리는 것은 그대로 방송국을 문닫겠다는 선언과 똑같은 것이며 선거 승리로 다수당이 됐다는 것이 마치 전리품을 챙기듯 방송국의 생사를 판단할 권한을 가졌다고 믿는 것이야 말로 명백한 월권이자 의회권력의 남용이라고 설명했다.

끝으로 박유진 의원은 “ 주권자의 뜻을 제대로 구현할 정치권력의 힘을 통해 법적 제도적 공영방송의 울타리를 지켜내야만 TBS의 미래가 있다” 면서 소위 TBS 방송 정상화 과정을 통해 편파성 공격으로 다수의 프로그램을 축출하고 폐지시켰으면서 , 정작 남아있는 임직원들에게 방송국 폐업이란 고통을 안기는 것은 일종의 형용모순이라고 지적하며 “ 현재의 기울어진 운동장 같은 언론지형의 현실에서는 올바른 정치 권력의 회복을통한 공영방송의 법적 제도적 보호장치를 제대로 만들어야만 TBS의 가치와 미래를 온전히 구현할 수 있다”고 강력히 주장했다.

지자체 의회

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