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농업 디지털 전환 및 안전 정책 예산 '구멍'… 김창식 부위원장, 농업기술원 질타

디지털 농업 시스템 연계 미흡, 농업 안전 예산 전액 삭감… 예산 편성 우선순위 재검토 요구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김창식 의원 경기 농업 디지털 전환 안전정책 예산 실종 기술원 우선순위 재정비 필요 2 경기도의회 제공



[PEDIEN] 경기도 농업의 디지털 전환과 농업인 안전 정책 예산이 뒷전으로 밀렸다는 지적이 나왔다.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김창식 부위원장은 경기도농업기술원의 2026년 본예산안 심의에서 예산 편성에 대한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김 부위원장은 농업기술원이 운영하는 각종 디지털 시스템의 연계 미흡과 허술한 보안 관리 체계를 지적하며, 5천만 원의 연구 용역비를 투입하고도 정작 예산에 반영하지 않은 점을 비판했다. 특히 클라우드 인프라 전환에 필요한 예산 부족을 이유로 디지털 농업 추진 의지가 없는 것 아니냐는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냈다.

김 부위원장은 AI·빅데이터 기반 서비스 전환을 위한 시스템 통합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관련 예산을 편성하지 않은 점을 꼬집으며, 이는 말과 행동이 다른 모순이라고 지적했다. 디지털 농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가 미흡하다는 것이다.

농업인 안전 문제에 대한 지적도 이어졌다. 김 부위원장은 ‘농업활동 안전사고 예방 생활화 사업’ 예산이 전액 삭감된 것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며, 고령화된 농촌 현실과 높은 농업 재해율을 고려할 때 안전 예산 확보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2025년 3개 시군에서 지원했던 사업을 2026년에는 5개 시군으로 확대할 예정이었으나, 예산 삭감으로 인해 사업 추진이 불투명해졌다. 김 부위원장은 시군과 농업인의 요구를 외면한 농업기술원의 결정은 수요 조사 결과와 정면으로 배치된다고 비판했다.

김 부위원장은 안전사고 예방 사업은 단순한 사후 지원이 아닌 농업인의 생명을 지키는 사전 예방 조치임을 강조하며, 디지털 농업과 안전 정책 모두 경기도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핵심 투자임을 강조했다. 그는 도민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예산 편성을 재검토하고, 농업기술원의 적극적인 의지와 후속 조치를 촉구했다.

지자체 의회

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