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기초학력지원센터, 실효성 논란 속 도마 위에

이호동 경기도의원, 예산 증액보다 운영 실태 점검 및 개선 촉구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이호동 의원 기초학력지원센터 실효성 미흡 예산 증액보다 점검이 먼저 경기도의회 제공



[PEDIEN]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 이호동 의원이 경기도교육청의 기초학력 보장 사업에 대해 강도 높은 비판을 제기했다.

이 의원은 24일 예산심의에서 기초학력지원센터의 운영 실태를 지적하며 사업 전반에 대한 점검과 개선을 촉구했다. 그는 특히 예산 투입 대비 미흡한 성과를 문제 삼았다.

이 의원은 기초학력지원센터가 지난 2년간 교원 대상 전문가 양성 연수를 진행했으나, 분야별 이수자가 극히 적다고 지적했다. ADHD 등 특정 영역은 연간 10명 수준에 불과해 교육 현장의 수요를 충족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장기 연수임에도 중도 탈락자가 많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이 의원은 연수 운영 방식 개선과 이수율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학부모 대상 연수의 형식적인 운영 방식도 비판했다. 유튜브 라이브 방식으로 진행되다 보니 참여자 수가 제한적이고, 이수 여부 확인도 어렵다는 것이다. 그는 실질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초학력 사업의 성과 확산 기능 부족에 대한 지적도 이어졌다. 교육 인프라 소외지역 학습 지원이 미미하고, 홈페이지 내 학습지원사례 게시도 부진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이문구 경기도교육청 초등교육과장은 문제점을 개선하고 전문가 연수의 완성도를 높이겠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이호동 의원은 예산만 늘리는 방식으로는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며,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정책 집행을 강조했다.

이 의원의 지적에 따라 경기도교육청의 기초학력 보장 사업 전반에 대한 재검토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지자체 의회

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