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경기도가 인공지능과 첨단산업, 국제협력 정책 전반에 대한 총체적인 점검에 나섰다. 도민 중심의 혁신을 목표로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고 공정한 지원 체계를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는 방침이다.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김철현 의원은 최근 AI국, 국제협력국, 미래성장산업국 등 관련 기관에 대한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했다. 이 자리에서 김 의원은 경기도의 AI 및 첨단산업 정책이 도민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는지 꼼꼼히 살폈다.
감사에서는 AI 데이터 표준화 및 품질 관리 체계 미흡, 한국광기술원 경기지역연구지원단 운영비 지원 방안, RISE 경기도형 대학혁신 모델 재정비 등 다양한 문제점이 지적됐다. 특히 기업 지원 사업에서 도 산하 기관 간 중복 지원을 막기 위한 사전 검증 제도화의 필요성이 강조됐다.
김 의원은 지난 11일 출범한 경기도 인공지능위원회가 AI 정책의 핵심 조정 기구로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위원회가 도민이 신뢰할 수 있는 AI 정책 모델을 만들고, AI 등록제, AI 행정서비스, 산업 생태계 강화 등 주요 사업을 책임감 있게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AI국 김기병 국장은 인공지능위원회를 중심으로 더욱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자문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급변하는 AI 환경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위원회를 수시로 개최하여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김철현 의원은 경기도가 미래산업을 선도하는 광역도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정책의 연속성과 현장의 실효성이 함께 작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기 위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정책을 점검하고 개선해 나갈 것을 약속했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