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 해양전시시설, 장애인 관람 외면…서삼석 의원 '접근성 최악' 질타

해양박물관 등 장애인 편의 서비스 3.5% 불과…'무늬만 무장애 관광지' 오명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서삼석 의원 프로필 사진 (국회 제공)



[PEDIEN] 국립 해양박물관, 국립해양과학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등 정부가 운영하는 주요 해양 전시 시설들이 장애인 관람객을 위한 지원에 소홀한 것으로 드러났다. 서삼석 의원은 이들 시설의 장애인 관람 접근성이 매우 낮다고 지적하며 개선을 촉구했다.

서삼석 의원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들 기관의 장애인 전용 전시물 정보 제공률은 전체의 3.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인들이 해양 문화와 생태계를 접하는 데 상당한 제약을 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국립해양박물관의 경우, 연간 85만 명의 관람객이 방문하는 대표적인 해양 문화 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촉각 전시물이나 점자 패널 등 장애인을 위한 편의 시설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기획전시의 경우, 이러한 시설이 전혀 갖춰지지 않은 경우도 많아 비판을 받고 있다.

국립해양과학관은 상황이 더욱 심각하다. 2020년 개관 이후 지금까지 점자 패널, 촉각 전시물, 수어 해설 영상 등 어떠한 관람 지원 서비스도 제공하지 않고 있다. 과학관 측은 '모든 국민이 이용 가능한 과학관을 조성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실제로는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역시 지난 10년간 장애인 전용 시설과 서비스가 전무했다. 전시물의 대부분이 생물 모형임에도 불구하고, 점자 패널이나 촉각 전시물 없이 일부 전시물에만 오디오 가이드를 제공하는 데 그치고 있다.

문제는 이들 기관 모두 한국관광공사가 추천하는 '무장애 관광지'로 등록되어 있다는 점이다. 서삼석 의원은 이러한 인증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장애인차별금지법 위반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서 의원은 “장애인차별금지법은 문화·예술 시설 관광에 대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지만, 국가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전시시설이 이를 어기고 있다”며 “장애인 관람 실태 전수조사와 제도 개선을 통해 모든 국민이 제약 없이 해양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삼석 의원은 앞으로 국립 해양전시시설의 장애인 관람 환경 개선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관련 예산 확보와 정책 마련에 힘쓰는 것은 물론, 장애인 단체와 협력하여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지자체 의회

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