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인천광역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모한 ‘2025년 지역 자율형 디지털 혁신프로젝트’ 초광역 협력과제에 최종 선정돼 7월 3일 첫 기획 회의를 개최하고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나선다고 밝혔다.
‘초광역 협력형 디지털 혁신프로젝트’는 두 곳 이상의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해 디지털 기술로 지역 현안을 해결하거나 디지털 산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시범 사업으로 인천시는 지난 5월 29일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전라남도와 사업 협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인천시는 총사업비 38.7억원을 2년간 단계적으로 투입해 블록체인과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도시자산 공유 플랫폼 개발 지원’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디지털 기술로 도시 유휴자산을 활성화하고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공공장소, 역사·문화 공간, 공실·빈집, 옥상 등 다양한 도시 유휴공간을 공유하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수요자와 공급자를 연계해 해당 공간을 창업, 체험, 문화 공간 등으로 탈바꿈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내용은 △블록체인을 통해 신원확인된 개인이 △인공지능 기반 대화형 자연어 기술 등을 활용해 △플랫폼에서 원하는 공간을 찾아 계약하고 참여자 간 평가를 통한 평판 기반 보상 체계 등을 포함한다.
인천시는 대표적인 원도심인 동구 일원 ‘배다리 쇠뿔마을 주민커뮤니티센터’, ‘청년 유유기지’ 등 활용도가 높은 지역 기반 시설을 중심으로 실증 사업을 전개하고 이후 전라남도 및 용인의 빈집·공실 문제 해결로 점차 확산할 방침이다.
이남주 시 미래산업국장은 “이번 사업은 지역 디지털 강소기업 육성과 균형 발전의 마중물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참여 지자체 간 지속 가능한 협력 모델로 발전시키고 디지털 기업과 인재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