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디자인 민관협업 정책 플랫폼 가동한다

‘인공지능 디자인’ 전략 상반기에 의견수렴 거쳐 발표 예정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산업통상자원부(사진=PEDIEN)



[PEDIEN] 산업통상자원부는 5월 22일 한국디자인진흥원 대회의실에서 강경성 1차관 주재로 “K-디자인 산업대화” 1차 회의를 개최했다.

“K-디자인 산업대화”는 강경성 1차관과 한국디자인단체총연합회 김현선 회장을 공동 위원장으로 13명의 디자인 업계 및 단체 대표들로 구성됐으며 작년 6월 발표한 ‘K-디자인 혁신전략’ 이행을 위해 기업 육성, 인력 양성, 연구개발, 제도 개선 등 디자인 정책 과제를 논의하는 민관 합동 정책 플랫폼이다.

특히 1차 회의에서는 △디자인 진흥사업 추진방향, △디자인 연구개발 개편방안 등에 대한 토론이 진행됐다.

디자인 진흥사업은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디자인 수요 다변화에 따라 기술-디자인 융합 비즈니스 도전, 디자인테크 혁신 생태계 구축, 맞춤형 해외 진출 방안 등이 논의됐다.

디자인 연구개발는 색상·소재·마감, 인간공학, 디자인 특화 인공지능 등 디자인 산업의 핵심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분야에 집중 투자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이외에도 디자인 업계의 제안에 따라 △ 디자이너의 자긍심 고취 및 디자인 중요성 인식을 위한 ‘디자인의 날’ 제정 계획과 △ 디자인 산업의 진흥정책 거버넌스를 개편하기 위한 디자인 법령 제·개정 검토 계획이 논의됐다.

김현선 회장은 “인공지능 확산과 환경규제 강화 등 급변하는 디자인 환경변화에 대응해 우리 디자인 기업과 디자이너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자긍심을 고취하기 위한 정책을 업계를 대표해 활발히 제안하고 정부와 논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강경성 1차관은 “디자인은 우리 산업의 고부가화를 위한 핵심수단”임을 강조하고 “최근 생성형 인공지능의 급속한 성장으로 디자인 산업의 지형과 디자이너 요구 역량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인공지능 디자인 확산 전략을 상반기에 업계 의견 수렴을 통해 조속히 발표하고 디자인 기업 성장 기반 조성, 디자인 활용률 제고 디자인권 및 거래 제도 개선 등 디자인 주요 정책이 K-디자인 산업대화를 중심으로 논의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치일반

사회일반